자식을 키울때..
페이지 정보

본문

스탠포드 대학의 사회심리학자인 드웩 교수가 실험을 한다.
대상은 뉴욕의 5학년 초딩들.......

아주 쉬운 시험문제를 아이들에게 풀게 한다.

나중에 나온 점수와 함께 한마디씩 아이들에게 직접적으로 해준다.

정확히 절반의 아이들에게는,
'너 참 똑똑하구나'라고 지능에 대한 칭찬을 한다.

그리고 나머지 절반의 아이들에게는,
'너 참 애썼구나'라며 그들의 노력을 칭찬해준다.

그리고 두번째 시험을 보는데,
이번 시험은 한가지는 어려운 시험이고, 다른 하나는 쉬운 시험인데,
아이들에게 스스로 고를 수 있는 기회를 줬다.

노력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아이들의 90%는 어려운 시험을 스스로 골랐고,,

지능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아이들은 거의 대부분이 쉬운 시험을 골랐다.

애들에게 머리가 좋다던가, 재능이 있다던가 그런 말을 어른들이 하게되면,,
애들은 안전지향으로 인생을 살 수 밖에 없음.
실망시키고 싶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자신의 지능이나 재능이 있다고 칭찬받고 자라온 아이들은....
어려움이나 실패를 맞닥뜨리면 그걸 인정하지 못함. 결국 주저앉게 됨.

이번에는 세번째 테스트.

세번째 시험은 아주 어려운 시험이었음.
모두에게 똑같이 어려운 시험을 풀게 함.


노력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애들은,
엄청 어려운 문제를 스스로 풀기까지 했음.
놀라운 발전.

하지만 지능/재능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애들은....
이런 어려움, 난관 앞에서 낙담과 실망만 했음.

4번째인 마지막 시험.
이번 시험은 애초의 첫번째 시험과 동일한 난이도의 쉬운 시험이었음.

노력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애들은 첫번째 치른 시험에 비해 성적이 30%씩 올라갔음.

하지만 지능/재능에 대한 칭찬을 받은 애들은,
오히려 20%나 성적이 떨어지는 결과를 받았음.

지능/재능은 고정된게 아님.
스스로 발달시킬 수 있음.

애들의 지능이나 재능을 칭찬하는건 정말 위험한 일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